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과 해외의 폐기물 처리 법률 비교

by Free top 2025. 3. 4.

전 세계적으로 폐기물 문제는 환경 및 경제적 측면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폐기물의 처리 및 재활용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각국은 다양한 법률과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세계은행(World Bank, 2023)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폐기물 발생량은 2050년까지 현재보다 7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관련 법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의 폐기물 관리 법률해외 주요국(미국, 유럽연합, 일본)의 폐기물 처리 법률을 비교하고, 각국이 어떤 방식으로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폐기물 관리를 추진하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한국의 폐기물 처리 법률

1.1 폐기물관리법과 자원순환기본법

한국의 폐기물 처리는 폐기물관리법자원순환기본법을 중심으로 운영됩니다.

  • 폐기물관리법: 폐기물의 수거, 운반, 처리 및 재활용에 대한 기본적인 규정을 정함.
  • 자원순환기본법: 폐기물 발생을 줄이고 재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법률.

한국 폐기물 처리 법률의 주요 특징:

  •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제품을 제조·수입하는 기업이 폐기물 재활용까지 책임지는 제도.
  •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에 따라 수수료를 부과하여 폐기물 감소 유도.
  •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 재활용 의무: 가전제품과 자동차의 재활용을 의무화하여 자원 순환 촉진.

특히, 한국은 2024년부터 일회용품 규제를 강화하여 플라스틱 컵, 비닐봉지, 일회용 빨대 등의 사용을 점진적으로 금지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1.2 폐기물 처리 방식 및 재활용 정책

한국의 폐기물 처리는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 소각: 폐기물을 태워 에너지를 회수하는 방식.
  • 매립: 매립지를 활용하여 폐기물을 처리.
  • 재활용: 자원을 다시 활용할 수 있도록 가공.

특히, 폐기물 에너지화(RDF, SRF) 기술을 활용하여 폐기물을 연료로 변환하는 방식을 적극 도입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 해외 주요국의 폐기물 처리 법률

2.1 미국의 폐기물 처리 법률

미국은 연방 및 주 정부가 각각 폐기물 처리를 담당하며, 주요 법률로는 자원보존 및 회수법(RCRA, 1976)이 있습니다.

미국 폐기물 처리 법률의 특징:

  •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역할 분리: 연방정부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각 주에서 세부 정책을 결정.
  • 고형 폐기물과 유해 폐기물 구분: 유해 폐기물은 더욱 엄격한 규제를 적용.
  • 재활용 인센티브 제공: 기업이 재활용 목표를 달성하면 세금 혜택 부여.

미국은 폐기물 처리 방식에서 재활용보다는 매립 비율이 높은 편이지만, 최근 캘리포니아주와 뉴욕주를 중심으로 순환 경제 시스템을 도입하려는 노력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2.2 유럽연합(EU)의 폐기물 처리 법률

유럽연합(EU)은 환경 보호를 위한 엄격한 규제를 시행하며, 특히 순환 경제(Circular Economy)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EU 폐기물 법률의 주요 특징:

  • EU 폐기물 지침(Waste Framework Directive): 회원국들이 지켜야 할 폐기물 관리 원칙을 정함.
  • 재활용 목표 설정: 2030년까지 플라스틱 포장재의 55%, 전자폐기물의 85%를 재활용 목표로 설정.
  • 플라스틱 사용 규제: 2021년부터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 판매 금지.

특히 독일, 스웨덴, 네덜란드는 폐기물 재활용율이 60% 이상으로 매우 높은 편이며, 폐기물 처리보다는 재사용과 재활용을 우선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2.3 일본의 폐기물 처리 법률

일본은 폐기물 처리를 위한 법률이 매우 체계적으로 정비되어 있으며, 3R(Reduce, Reuse, Recycle)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일본 폐기물 처리 법률의 특징:

  • 순환형 사회 형성 촉진법: 기업이 생산 단계에서부터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유도.
  • 가전제품 리사이클법: 가전제품의 80% 이상을 재활용하도록 의무화.
  • 폐기물 분리수거 시스템: 10가지 이상의 분류 기준을 적용하여 재활용률을 높임.

일본은 특히 소각 폐기물에서 에너지를 회수하는 시스템을 적극 도입하여, 폐기물의 70% 이상을 소각 후 에너지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3. 한국과 해외 폐기물 처리 법률 비교

3.1 폐기물 처리 방식 비교

국가 주요 법률 처리 방식 재활용률
한국 폐기물관리법, 자원순환기본법 소각, 매립, 재활용 약 55%
미국 자원보존 및 회수법(RCRA) 매립 중심, 일부 재활용 약 35%
EU EU 폐기물 지침 재활용 및 순환 경제 모델 60% 이상
일본 순환형 사회 형성 촉진법 소각 후 에너지 회수 약 70%

3.2 한국 폐기물 정책의 개선 방향

한국은 폐기물 관리에서 선진국 대비 높은 재활용률을 보이고 있지만, 보다 효율적인 자원 순환 시스템 구축이 필요합니다.

  • 폐기물 감축 정책 강화: EU처럼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규제 확대.
  • 재활용 기술 개발: 고효율 폐기물 처리 기술 및 업사이클링 연구 지원.
  • 기업의 책임 강화: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적용 범위 확대.

결론: 지속 가능한 폐기물 관리 체계 구축 필요

각국의 폐기물 처리 법률은 점점 더 엄격해지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자원 순환 경제로 전환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한국도 해외 사례를 참고하여 더욱 체계적인 폐기물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